총회장의 "총신사유화" 언급에 주어를 사용하라

예장합동 전계헌 총회장이 이번 목회서신에서 언급한 “총신 사유화”란 무엇인가? 

총회장은 “첫 번째 과제의 경우 총회는 법적 대응 등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통원해 총신이 사유화의 길로 가는 정관을 바로잡고, 총회가 직영하는 학교로 돌아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이라고 제시했다.

‘총신 사유화’라는 중대한 것을 보도하면서 정작 ‘주어’를 생략했다. 총신을 누가 사유화시켰는지 명시화해서 언급해야 한다. 그리고 그 대상자에게 정당한 법적 공리, 명예훼손 등을 밝히면 된다.

이후로 총회나 어떤 공적 자리에서도 ‘총신 사유화’에 명확한 주어를 사용하라. 그래서 자기  주장의 정당성을 스스로 확보하라. “주어 없는 총신 사유화”를 성명서, 목회서신, 공적 발언을 삼가야 한다.

“총신 사유화”라는 용어가 얼마나 탐욕적이고 모욕적인가? 그런데 그 주장에 주어를 제시한 경우를 한 번도 보지 못했다. 그런데 총회장의 목회서신에서도 주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려면 주어를 명시하게 사용해야 한다. 모호한 싸움이 아니라 명료한 싸움이 될 수 있게 하라.

총신대학교는 정부가 인준하고 인정하는 교육기관이고 사학(私學)이다. ‘사학(私學)’과 ‘사유(私有)’를 비교해 보라. 만약 총신대학교가 사유화가 된다면 국가는 그 인준을 취소할 수 밖에 없다. 국가가 사학을 인준할 때 개인에게 자격을 부여한 것이 아니다. 이사회를 구성해서 진행한다. 지금 총신대학교에 이사회가 없는가? “총신대학교 사유화”를 주장하는 것은 매우 법적인 주장이다. 이사회의 이사들은 모두 허수아비인가? 로봇인가? 총신 사유화를 주장에 명료한 주어를 사용한다면, 발언자는 그러한 대상자에게 마땅히 법적 윤리적 책임을 각오해야 한다. 주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그런 법적 소용돌이를 피하기 위한 꼼수가 아닌가?

거대한 법적 문서에서도 ‘주어’를 사용하지 않는 모습을 보면서 그러한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총회장은 ‘총신 사유화“의 주어(실체)가 무엇인지 명료하게 밝히면서 일을 진행하라.

장로교회의 총회와 임원회

총회의 업무는 기본적으로 노회가 수의한 안건을 다루는 것이며, 이에 따라 총회는 각 노회의 수의를 정해진 시일 내에 회의하는 ‘임시 기구’(Extraordinary)의 성격이다.

물론 총회의 안건들 가운데에는 일부 행정적인 후속조치가 필요하거나 사전 준비를 필요로 하는 것이 있을 수 있으므로 그러한 목적에 따라 상설적인 일부 기구를 둘 수도 있다.  그러한 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이 바로 ‘임원회’(a board of directors)일 수가 있다.

하지만 그런 임원회라고 하더라도 결코 자체적으로 안건을 생성하거나 취급할 수는 없고, 다만 노회가 수의한 건에 대해서만 부수적으로 활동할 수 있다.

따라서 총회의 임원회가 무언가를 결의한다는 것 자체가 장로교회 정치의 법리상 불법이며, 그것을 노회나 지교회에 내려 보내는 일은 더더욱 불법이다.

저작권자 © 본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