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의 핵심 내용을 익혀라 (2)

 

이대희목사는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M.Div)),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Th. M).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성경학박사과정(D.Litt)을 졸업했다. 예장총회교육자원부 연구원과 서울장신대 교수와 겸임교수(10년)를 역임했다, 학술원 교수 강의와 전국 목회자와 교회교육 세미나와 강의등을 하고 있으며, 매주 월요일에 내가 죽고 예수로 사는 평생말씀학교인 <예즈덤성경대학>을 20년째 교수하고 있으며 극동방송에서 <알기쉬운 기독교이해><크리스천 가이드> < 크리스천 습관과 인간관계> < 재미있는 성경공부> <전도가 안된다구요>등 성경과 신앙생활 프로그램 담당했으며 동부구치소 재소자 성경공부와 다양한 직장 소그룹 성경공부 사역. 중국목회자 훈련사역과 북한선교 지도자 훈련 사역을 담당하고 있다. 그동안 다양한 현장 사역 경험(소형.중형.대형교회,개척과 담임목회)과 연구를 토대로 200여권의 이야기대화식 성경교재와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을 제시한 50여권의 저서( “유대인 밥상머리 자녀교육법” ( 2016년 세종도서 우수도서 올해의 책 선정). “한국인을 위한 유대인공부법” (대만번역 출간)가 있다. 현재 꿈을주는교회 담임목사. 예즈덤성경하브루타 연구소장. 미국 Kernel niversity Korea Campus 국제 객원교수.

 

커뮤니케이션과 대화법을 훈련하라

모든 것은 소통에서 이루어진다. 소통이 중요하다. 정치, 경제, 문화, 교육에서도 소통은 매우 중요하듯이 전도에도 이것은 그대로 적용되는 원리다. 전도는 의사소통이다. 이것을 커뮤니케이션이라고도 말한다. 효과적인 전도를 위해서 의사소통의 원리를 알아야 한다. 일차적으로 불신자와 소통이 이루어지면 반은 전도한 것이다.

그런데 소통이라는 것이 쉽지 않다. 서로 다른 배경에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싸움이 일어나는 것은 소통의 부재 때문이다. 전쟁도 대부분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전도자는 커뮤니케이션의 원리를 배워야 한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어떤 것을 받아들이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칠까? 이것은 전도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복음의 진리를 나의 것으로 채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인식하는 단계 → 2) 관련성을 맺는 단계 → 3) 관심과 흥미를 느끼는 단계 → 4) 확인하는 단계 → 5) 채택하는 단계

이런 의사소통의 단계를 먼저 잘 이해하고 전도자는 적용해야 할 것이다. 아직 진리에 대한 의미가 인식이 안 된 상태에서는 다음 단계에 이르지 못한다. 또 나의 삶에 관련성을 맺지 못하면 진리라 할지라도 거부하게 된다. 설사 삶에 관련성이 있다 해도 당장 흥미와 관심이 없는 것이라면 마음을 닫는다. 지금까지의 단계를 잘 거쳤다 해도 그냥 받아들이지 않고 정말 그런지 시험해 보고 확인하려 한다. 이것에 대해 적절하게 근거를 보여주면 그는 드디어 자기의 것으로 채택하게 된다.

왜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함에도 그것이 잘 전달되지 않는가? 거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진리의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현대에 맞게, 아니면 사람의 눈높이에 맞게 잘 설명되지 못했을 때 일어난다. 불신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속죄, 성화, 거룩, 중생, 구속 등의 단어는 피해야 한다.

둘째, 불신자들은 교리보다는 예수님 자체를 소개 받고 싶어 한다. 그러나 정작 전도자는 예수님의 인격과 삶에 대한 것보다는 짜인 각본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은 예수님의 겸손의 이야기(자기를 비워 십자가의 죽음을 택하신 이야기 등)를 전하면 감동을 받게 된다. 사람들은 이런 예수님의 이야기를 들으면 관심이 가고 더 알기를 원한다.

셋째, 진리를 설명할 때 사람들의 이해에서 출발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복음을 설명할 때 우리의 이해 속에서 전한다. 상대방을 잘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많다. 예를 들면 삼위일체 하나님을 설명할 때도 하나님, 예수님, 성령님 순인데 불신자들에게는 오히려 거꾸로 하는 방법이 좋다. 사람들의 마음속에 계시는 성령님을 전하고 그 다음 예수님, 하나님의 순으로 전하면 그들은 이해가 쉽다. 왜냐하면 사람의 마음에 있는 영은 누구나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불신자도 이해가 가능하다.

복음은 언어의 전달이다.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것을 접촉점으로 삼고 전도해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이런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원리를 무시하고 자기 관점에서 무례하게, 아니면 관련성이나 흥미가 없는 것에서부터 대화를 시작하지 않는지 점검해야 한다. 적어도 전도자는 이런 의사 소통법이나 대화법을 사전에 숙지하고 상식적인 실수를 범하는 일이 없어야 하지 않을까? 믿지 않는 불신자를 탓하기에 앞서 전하는 사람의 게으름과 무지함과 교만함이 없었는지 다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Tip_불신자에게 전하는 효과적인 의사 소통법

1. 나의 말을 하기 전에 상대방을 이해하고 그들의 말에 먼저 귀를 기울이라.

2. 불신자를 내가 먼저 찾아 나서고 그들에게 마음을 주어라.

3. 정복 대상이 아닌 진리에 이르도록 도와주는 친구로 대하라.

4. 모든 말을 한꺼번에 하려고 하지 말고 결정적인 순간을 기다리라.

5. 모든 인간의 문제는 결국 그리스도 안에서 해결될 수 있음을 확신시켜 주어라.

(그리스도는 나의 삶과 긴밀하게 관련이 있음을 알게 하라.)

6. 진리를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실제 예화나 비유 등을 준비하여 사용하라.

(변증을 논리로 하기 보다는 이야기로 하라.)

 

 

예상 반대 질문을 준비하라

전도를 하다 보면 불신자들은 늘 궁금한 것을 질문한다. 처음 들어본 복음 이야기와 성경 이야기는 그들에게 의문투성일 것이다. 전도자가 모든 답을 해주지 못한다 할지라도 할 수 있는 기초적인 부분에서는 충분한 답변을 해주어야 한다. 이것을 위해서는 기독교의 기본진리를 배워야 한다. 전도를 하다보면 관심을 가진 사람은 쉬지 않고 질문한다. 질문하고 의문을 가진다는 것은 흥미가 있다는 것으로 의사소통의 3단계에 이른 것이다. 이런 사람은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확인하는 단계에 이르면 진리를 자기 것으로 채택하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이때 전도자는 귀찮아해서는 안 된다. 그들에게 “좋은 질문입니다. 저도 이전에 그런 의문이 생겼습니다. 제가 깨달은 내용을 알려 드려도 되겠습니까?” 하면서 답변해주면 고마워한다. 설사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한다 해도 두려워할 것 없다. 이미 그것 자체로 상대방은 이미 마음을 열었고 복음을 자기 것으로 채택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상대방이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증거가 바로 전도자 자신이기 때문이다. 이때 전도자는 확신을 가지고 대답하고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는 명확한 설명보다 전도자가 복음을 잘 이해하고 있는가 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라.

여기서 한 가지 분명히 기억해야 할 것은 논쟁으로 굴복시키는 것은 금물이다. 의심이 풀린다고 그가 믿는 것은 아니다. 어차피 의심은 하나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계속되기 때문이다. 믿음을 가진 우리들도 성경에 대해 의문이 들고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하나의 가능성만 열어주면 그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결국은 성령이 역사해야 함을 안다면 그 나머지는 동역자이신 성령께 넘기라. 깨닫게 하고 진리에 이르게 하시는 성령님이 깨닫게 하시면 한 순간에 의심이 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성령이 아니고서는 누구든지 예수를 주시라 할 수 없느니라”(고전 12:3).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최선을 다하고 할 수 없는 일은 그분에게 맡기라. 불신자들이 가장 많이 물어 오는 예상 내용들을 조사하고 그것들에 대한 내용을 미리 준비하고 정리하면 전도할 때 많은 도움이 된다. 이것에 대해 정리한 책들이 많이 나와 있다. 기독교 서적을 통해서 도움을 받으면 된다. 어떤 것은 만족할 만한 답이 없을 수 있다. 가장 좋은 답은 내가 이해한 것을 전하고 답해주는 것이다. 내가 소화할 수 있는 믿음의 분량에서 답해주면 된다. 이것에 대해 미리 겁을 내지 말라. “나도 지금 배우고 있는 중이에요” 하면서 잘 모르는 것은 “앞으로 같이 배워 보자”고 하면 더 친근감이 들 수 있다.

현장에서 둘씩 연습하라

모든 일에서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은 오직 훈련이다.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나의 것으로 익숙하게 해야 한다. 그런 훈련 속에 동역자 되신 하나님이 함께 하실 것을 기도해야 할 것이다.

전도를 실천하려면 지금까지 숙지한 내용들을 내 것으로 만드는 사전 훈련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훈련한 내용을 둘씩 짝을 맺어 연습하면 도움이 된다. 한 사람이 불신자가 되어 보고 전도자가 실제 전도하는 연습을 해보자. 그리고 무엇이 잘 안 되는지 그것을 다시 훈련하고 연습해보자. 이때 다양한 예상 불신자들을 상대로 정하여 경험하게 하면 유익하다. 교회적으로 이런 예상 불신자들을 정하고 질문과 태도 등을 연구하여 그것에 대처하는 방법을 전도자들이 훈련하고 숙지한다면 현장에서 많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것이 여건상 잘 안되면 현장에서 직접 전도하면서 훈련할 수 있다. 현장에는 전도자를 훈련시킬 수 있는 불신자들이 널려 있다. 처음부터 전도왕이 되는 것은 아니다. 수많은 실패를 통해 전도자가 되는 것이다. 이런 각오를 가지고 얼마동안은 나를 훈련시키는 조교라 생각하고 불신자들을 만나서 경험하면서 연구한다면 스스로 터득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다.

전도는 실전에 나가서 사람을 직접 만나보는 길이 제일이다. 생각만 하지 말고 하루에 몇 사람씩 정기적으로 만난다 생각하고 가능한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전도를 터득하는 것처럼 좋은 방법은 없다. 어느 정도 전도에 대한 이해가 되었으면 가리지 말고 직접 현장에서 사람과 부딪쳐보자. 전도의 왕도는 직접 부딪치는 것 이외에 다른 방법은 없다.

선물을 준비하라

전도를 하기 전에 먼저 신뢰를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중의 하나가 주는 것이다. 상대방에게 선물을 주는 것이다. 그냥 선물만 주지 말고 그 속에 마음을 담아 주면 사랑의 마음이 선물을 통해서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음식과 선물을 통해 먼저 관계를 맺고 정이 들게 해야 한다. 선물은 누구든지 좋아한다. 선물은 말 그대로 거저 주는 것이다. 조건이 없다. 무슨 대가가 있으면 그것은 부담이 된다. 선물을 줄 때 너무 부담되는 선물보다는, 부담이 안 되면서 생활에 필요한 것과 유익이 되는 선물을 주는 것이 좋다. 이런 면에서 선물을 접촉점으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

성경은 “물질이 있는 곳에 마음이 있다”고 했다. 일단 사람이 물질을 주든지 물질을 받으면 마음이 가게 된다. 누구든지 한두 번 선물을 받으면 생각과 마음이 자연히 선물을 준 그 사람에게 가게 된다.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복이 있다고 했다(행 20:35). 선물을 준다는 것은 이미 그 속에 복음의 특징이 들어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복음은 선물이다. 예수님을 소개하는 것도 결국은 선물을 주는 것이다. 예수님은 선물 중에 최고의 선물이다. 전도자는 선물을 줄 때 이 선물보다 더 중요한 선물이 기다리고 있다는 면을 강조하면서 선물을 주면 좋으리라 본다.

예를 들면 선물을 주면 받는 사람들은 미안해한다. 계속 선물을 주면 “너무 미안해서 어떻게 하죠” 하고 말한다. 그러면 그때 “아니에요. 사실은 제가 더 좋은 선물을 주고 싶은데 그것이 잘 안 되는 군요” 하면서 말꼬리를 흐리고 복선을 깔아 궁금증과 기대감을 갖게 하는 것도 지혜의 한 방법이다. 지금 선물을 주는 것은 단순히 물질 이상의 의미가 있음을 알려주는 것은 중요하다. 예수님도 사마리아 여인과 대화에서 여인이 준 물을 통해 이 물보다 더 큰 선물인 영원히 목마르지 않는 물이 있음을 은근하게 말해주면서 기대감을 갖게 한 것을 본다(요 4:10).

선물은 전도의 접촉점이 되고 좋은 연결고리가 된다. 또한 선물은 방문이나 사람을 만나는데 두려움을 해소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대방에게 정을 주는 것으로 선물을 줄 때마다 정이 쌓이는 효과가 있다. 한 번의 선물로는 안 되고 지속적으로 선물을 하되 부담이 안 되는 범위에서 경조사나 생일. 기념일 등에 맞추어 선물을 해도 좋다. 자녀나 가족을 위해 선물을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저작권자 © 본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