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의 지도자를 키운 성경공부와 사경회”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M.Div),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Th. M).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성경학박사과정(D.Litt)을 졸업했다. 예장총회교육자원부 연구원과 서울장신대 교수와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그동안 성경학교와 신학교, 목회자와 교회교육 세미나와 강의등을 해오고 있으며, 매주 월요일에 내가 죽고 예수로 사는 평생말씀학교인 <예즈덤성경대학>을 20년째 교수하고 있으며 극동방송에서 <알기쉬운 기독교이해><크리스천 가이드> < 크리스천 습관과 인간관계> < 재미있는 성경공부> <전도가 안된다구요>등 성경과 신앙생활 프로그램 담당했으며 다양한 직장 소그룹 성경공부 사역을 하고 있다. 그동안 다양한 현장 사역 경험(소형.중형.대형교회,개척과 담임목회)과 연구를 토대로 300여권의 저서가 있으며 <이야기대화식 성경연구>와 <30분성경교재 시리즈>와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을 제시한 저서( “유대인 밥상머리 자녀교육법” ( 2016년 세종도서 우수도서 ). “한국인을 위한 유대인공부법” (대만번역 출간), “유대인의 파르데스공부법“ 등 다수가 있다. 현재 꿈을주는교회 담임목사. 예즈덤성경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초기 한국교회를 세운 특징은 사경회와 성경공부였다. 모두 성경을 깊게 공부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한국교회는 이런 말씀 과정을 통해 지도자들과 제자들이 세워졌다. 성경을 깊게 공부할 때 본질에 접근하면서 변화가 일어난다. 당시 민족의 지도자였던 김구는 이때의 사경회에서 성경공부와 교육자로서의 기초과정을 익혔고 특히 이 자리에서 자연스럽게 평양에 모인 기독교 지도자들과 신교육 운동가들을 만날 수 있었던 것은 그 자신이 신교육운동과 애국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데 매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우리가 잘 아는 김구, 이승만, 전덕기, 주시경, 최남선, 남궁억, 조만식, 이승훈 등 수많은 민족지도자들은 모두 성경을 통하여 만들어진 인물이었다. 그들이 조선의 정치를 성경이 이끌어 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이것은 이승만이 옥중에 나와서 동지들과 함께 나라를 살리자는 의미에서 세운 상동 학원의 설립과 취지와 경위를 적은 '신학월보'에 기고한 내용에서 잘 나타나 있다. 그중에서 몇 개의 이승만의 연설과 함께 인용 한 내용을 살펴보면 그때 당시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당초에 우리는 바라지도 못하고 경영(경험)도 없는 일을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은 이들이 스스로 시작하여 이런 일이 점점 설시(設施)되는 것을 보니 하나님이 정녕 대한을 아직까지도 버리시지 않는 줄 알 것인즉, 우리의 바랄 것이 무궁한 줄로 압니다.”

“우리나라에는 관-사립 간에 학교가 한둘이 아니로되 사람노릇 하는 사람이 얼마나 났으며 나라에 유익함이 얼마나 되었소. 지금에 혹 학교에 보내라 하면 곧 버릴 곳으로 보내라는 줄 알게 되었으니, 이는 학교가 그른 것이 아니오 못된 것을 가르쳐 그런 것이 아니라 다만 사람의 재주만 가르치고 마음은 가르치지 못하는 연고이라.… 그러므로 이 학교는 먼저 경천애인(敬天愛人)하는 참 도로 근본을 삼아 마음을 닦고 도를 숭상하며 세상을 위하야 일하는 일꾼이 되기로 작정하야…학교 임원들과 각 교사들과 모든 학도들이 다 이 뜻을 위하야 부지런히 힘쓸지라. 장차 군민의 유조한 선비가 많이 생길 줄 기약하노니, 어찌 다른 학교와 함께 비교하오리까.”

“개학날이 가까워오니 여러 사람이 자질(子姪)들을 데리고 와서 부탁하며 사람을 만들어 달라 합니다. 만일 사람 아닌 것을 데리고 와서 사람을 만들라 하면 혹 괴이치 않다 하련만은 사람을 데리고 와서 사람을 만들라 함은 이상치 않습니까. 다른 말이 아니라 사람은 사람이로되 다 되지 못한 사람이라는 뜻이니, 이는 누구든지 가르치지 못한 것은 사람이 아니라는 뜻이 아닙니까.… 지금이라도 나라가 나라 노릇하자면 사람이 먼저 사람노릇을 하게 되어야 하겠고, 사람이 먼저 사람노릇하자면 가르치고 배우는 데 있으니, 대저 학교는 사람을 만드는 곳이요 또한 나라를 만드는 곳이라고도 하겠사외다.”

“학교의 대지가 모든 학문을 다 하나님 공경하는 참 도로써 근본을 삼아, 청년으로 말하여도 벼슬이나 월급을 위하야 일하는 사람이 되지 말고 세상에 참 유익한 일꾼이 되기를 작정하자는 데 있다” (10월15일 오후 2시에 청년학원 개교식에서 행한 개회사)

무엇보다도 성경적 세계관과 가치관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여 무너져 가는 나라를 세워야 한다는 의지가 강하게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학교교육이 전인교육을 강조하면서 나라의 비전을 보았던 점은 오늘 교육의 위기를 맞고 있는 우리에게 많은 도전을 주고 있다. 아울러 교회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일깨워 주는 역사적 교훈이다.

지금 우리나라가 세계 선진국에 이렇게 빨리 진입한 것은 교육의 힘이 컸다. 그 교육의 뿌리를 다진 것이 성경공부였다. 선교사들이 한국에 많은 학교를 세운 목적은 결국은 성경을 공부하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지금의 연세대, 이화여대 등 명문사학은 대부분 선교사들이 세운 학교들이었다. 갑오개혁(甲午改革)을 전후하여 기독교계 학교가 많이 설립되었고 1910년 2월까지 설립된 기독교계 학교의 종파별 통계를 보면 장로파가 501교, 감리파가 158교, 성공회(聖公會)가 4교로, 기독교회가 세운 학교는 모두 663교였다. 이런 정황을 볼 때 기독교가 한국에 들어오면서부터 미션학교는 1894년 정부에 의한 교육개혁이 있기까지 근대교육의 기초를 다지는데 큰 역할을 했다. 교회와 교회학교와 더불어 기독교 사학은 한국을 교육으로 세우는데 뿌리가 되었다. 이런 교육의 힘은 지금의 한국을 기적으로 만든 원동력이 되었고 그동안 유교로 교육했던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결과를 이루었다. 한국교육의 뿌리는 성경이었다. 미션학교의 수를 보면 실제 남자학교보다 여자학교가 더 많았다. 이것은 누구나 차별 없이 성경을 공부하는 복음의 원리를 교육에 적용한 것이었다. 우리나라가 일본 식민지와 6.25전쟁을 겪은 세계 최빈국었지만 100년 만에 선진국 대열에 빨리 진입한 것은 성경을 기반으로 교육한 이유가 크다,

성경을 기반으로 교육이 이루어진 나라는 한결 같이 교육강국과 선진국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에서 최초의 대학인 1158년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과 그다음으로 세워진 프랑스 파리대학은 모두 신학을 가르칠 목적으로 세워진 학교였다. 이탈리아의 볼로냐는 의과대학으로. 볼로냐는 법과대학으로. 프랑스 파리대학은 신과대학으로 유명한데 이들은 모두 크리스천들이 세운 학교였다. 그 뒤를 이어 영국의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대학이 세웠다. 최고의 인재는 신학부로 몰렸고 학문의 꽃은 신학부였다. 미국에서 교육은 1636년에 보스턴에 존 하버드 복사의 유언에 따라 작은 대학이 하나 세워졌다. 제대로 된 목사를 길러내기 위한 목적에서 세워진 이 대학은 존 하버드라는 목사의 이름을 따라 <하버드(harvard)> 대학으로 불렸다. 케임브리지(cambridge) 대학도 존 하버드 목사가 공부한 대학의 이름을 따서 불려진 것이다. 처음에 함께 하버드 대학을 세웠던 한 사람은 대학설립의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하버드 대학 교정의 존 하버드 목사 (John Harvard,1607년~1638년) 동상

“하나님께서 우리를 신대륙으로 무사히 보내주신 후 우리는 우리가 살집을 지었고 우리가 먹고 살 삶의 터전을 이룩했고 하나님을 예배할 처소를 지었으며 기본적인 정부의 형태를 이 지역에 만들었다. 이제 우리가 그 다음으로 가장 간절히 소원했던 것은 바로 배움의 터를 닦아 우리의 후대를 준비하는 일이었다” 하버드 대학과 쌍벽을 이루는 예일(yale) 대학도 경건한 청교도 교인에 의하여 세워졌다. 이런 학교는 모두 성경을 기반으로 세워졌고 그 속에서 나라를 이끄는 지도자들을 계속 배출되고 있다

요즈음은 영국과 미국과 한국까지 성경으로 세운 명문학교가 성경을 멀리하는 세속학교로 돌아가는 모습은 슬프게 한다. 뿌리 없는 나무는 얼마 지나면 고사한다, 지금 한국교회와 명문사학들이 이런 상황에 처해 있다. 사경회와 성경공부가 사라지는 한국교회의 위기를 회복하는 것은 다시 성경을 공부하는 일이다, 가장 고차원적인 성경을 공부하는 일에 교회가 힘을 쓸 때 한국교회와 나라의 희망이 있다. 점점 세속화와 인본주의가 지배하는 한국사회를 보면 가슴이 메인다. 이것을 해결하는 길은 오직 하나다. 그것은 교회가 먼저 다시 말씀을 깊게 공부하는 일에 몰두하는 일이다. 설교만 듣고 사라지는 무리는 사회를 변화시키지 못한다. 말씀을 깊게 묵상하고 배우는 제자만이 이일을 감당 할 수 있다. 바라기는 이 일에 목숨을 거는 목회자들이 많아지길 기도한다.

 

 

 

저작권자 © 본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