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플라스틱 카드 천국이다. 남녀노소 할것없이 교통카드부터 체크카드뿐만 아니라 신용카드 몇장은 기본으로 가지고 다닌다. 디지털 결제의 글로벌 리더 비자(Visa)가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스타트업 브리지(Bridge)와 손잡고, 스테이블코인으로 일상 결제가 가능한 새로운 비자 카드를 선보인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암호화폐가 더 이상 일부 투자자나 커뮤니티의 전유물이 아닌, 전 세계 소비자들이 실제 생활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결제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스테이블코인, 이제 카드 한 번으로 실생활 결제
비자와 브리지는 핀테크 개발자들이 단일 API 통합만으로 여러 국가의 고객에게 스테이블코인 연동 비자 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신상품을 발표했다. 이 카드를 통해 사용자는 비자 가맹점 1억 5천만 곳 이상에서 스테이블코인 잔액을 활용해 상품과 서비스를 직접 결제할 수 있다. 결제 시 브리지는 고객의 스테이블코인 잔액에서 금액을 공제하고, 이를 현지 법정화폐로 전환해 가맹점에는 기존 카드 결제와 동일하게 현지 통화로 대금이 지급된다.
브리지를 활용하는 개발자들은 여러 국가에서 스테이블코인 연동 비자 카드를 제품에 쉽게 추가하고, 브리지를 통해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카드 관리와 환전 업무까지 자동화할 수 있다. 브리지는 금융기관 파트너인 리드 뱅크(Lead Bank)와 협력해 해당 서비스를 지원한다.
첫 출시 국가는 중남미…글로벌 확대 예고
이번 서비스는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에콰도르, 멕시코, 페루, 칠레 등 라틴아메리카 6개국에서 우선 출시된다. 비자와 브리지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자산가치를 보존하고, 일상적인 구매에 활용하려는 중남미 소비자와 기업의 수요 증가에 주목했다. 양사는 앞으로 몇 달 안에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스테이블코인, 실생활 결제의 새로운 선택지”
비자 최고 제품 및 전략 책임자인 잭 포레스텔(Jack Forestell)은 “스테이블코인을 비자의 기존 네트워크와 상품에 원활하고 안전하게 통합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브리지와의 파트너십은 스테이블코인을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진전”이라고 강조했다. 브리지의 CEO 자크 에이브럼스(Zach Abrams) 역시 “누구나 카드 결제 방법을 알고 있지만, 이제는 카드 한 번만으로 스테이블코인을 쓸 수 있게 된다”며 “개발자들에게도 확장성 높은 카드 발급 상품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라고 밝혔다.
업계와 시장의 의미
이번 파트너십은 스테이블코인이 암호화폐 거래소의 경계를 넘어 실물 경제로 진입하는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특히 미국 의회가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을 논의하는 가운데, 글로벌 결제 인프라 기업들이 실생활 결제에 스테이블코인을 통합하는 움직임은 금융 혁신의 속도를 한층 높일 것으로 보인다.
비자(Visa)는 20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서 소비자, 가맹점, 금융기관, 정부기관 간의 거래를 지원하는 세계적인 디지털 결제 기업이다.
브리지(Bridge)는 2025년 2월 스트라이프(Stripe)에 인수된 스테이블코인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으로, 블록체인과 법정화폐 간의 복잡한 전환 과정을 간소화해 글로벌 기업의 자금 관리와 이동을 지원한다.
-----------------------------------------------------------------------------
이 카드가 사용하는 스테이블코인은 어떤 암호화폐일까?
비자와 브리지의 파트너십에서 사용하는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USD)와 1:1로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이다. 대표적으로 테더(USDT), USD코인(USDC), 그리고 최근에는 리플(Ripple)에서 발행한 RLUSD와 같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결제 및 송금 등 실생활 결제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테이블코인들은 가격 변동성이 거의 없고, 실제 은행 계좌에 예치된 달러나 단기 국채 등 실물 자산을 담보로 하여 안정적인 가치를 유지한다. 비자-브리지 카드는 바로 이와 같은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사용자가 결제 시 스테이블코인 잔액에서 금액을 차감하고, 가맹점에는 현지 통화로 자동 환전해 지급하는 구조이다.
즉, 이 카드에서 사용하는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와 연동된 USDT, USDC, RLUSD 등 주요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