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문화해설사 11주 양성 과정 부산에서 시작하다.

  • 입력 2024.09.27 09:15
  • 수정 2024.09.27 09:30
글자 크기
프린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관_부산 기독교 문화 역사 연구회

기독교문화해설사 양성을 위한 교육이 경남 정보 대학 평생 교육원에서 92511주 과정으로 서울에 이어 두 번째 부산에서 진행되고 있다.

기독교문화해설사가 되기 위해 30명의 목사 장로 권사 집사들이 참석하여 개강식을 가졌다.

송영웅목사
송영웅목사

송영웅(부산 기독교문화역사연구회 부회장)의 인도, 최성구(순복음부산목회대학원 원장)목사의 기도, 신동기(역사 연구회 사무총장)목사의 말씀 봉독(“그 때에 왕이 없으므로 사람이 각기 자기의 소견에 옳은대로 행하였더라”),

박남규목사
박남규목사

부산 성시화 본부장이신 박남규 목사의 미래가 없는 사회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전했다.박 목사는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고 하면서 역사를 주전(B.C) 주후(A.D)로 나누었는데 실제로 역사는 하나님 없는 역사와 하나님이 존재하신 역사로 기록된다. 역사적 유물을 남기기 위해서는 역사를 교육시켜야 한다고 강조 하였다. “교회가 각기 소견대로 행하지 아니하고 하나님의 말씀대로 행함으로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 드리자고 하였다.

박수웅목사
박수웅목사

이어서 축사 박수웅(부산 기독교문화 역사연구회 회장)목사는 부산은 알렌 선교사를 통해 복음이 들어 온지 140년이 되었고, 부산에는 부산진 교회와 초량교회가 133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목회자들이 기독의 문화를 통해 역사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조운복 장로
조운복 장로

이어서 조운복(부산 기독교문화역사연구회 고문)장로는 현대 교회가 선조의 귀한 기독교 문화를 개발 발전시키지 못하고, 도리어 훼손하고 있다. 자신은 1961년도에 부산 대학교 교수와 45년간 소정교회 장로로 섬기면서 선조가 개척 설립한 작은 교회가 현재 큰 교회로 발전되었으며, 기독학생 농어촌 선교 운동과 군인 교회를 섬겼다. 이러한 역사문화유산을 잘 개발하여 후손들이 문화유산을 계속 이어 가자고 하였다.


평생 교육사 과정을 보면


1_개강예배 O.T

2_부산에서 시작된 한국 기독교

3_경남 선교 벨트 탐방

4_부산 지역 초기 선교사들

5_부산 지역에서 초기 교회 설립

6_부산 선교 유적지 안내

7_대구 선교 벨트 탐방 9곳 현장 체험)

8_문화해설사 기본에티켓

9_디카시 특강1

10_디카시 특강2

11_종강예배 수료식

 

이어서 2부로 평생 교육원장 정유지 교수와 송영웅 목사의 오리엔테이션이 있었고, 이후에 교수 식당에서 화목한 가운데 오찬을 하고 마쳤다.

기독교 문화 연구는 뿌리를 찾아올라 가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이다. 우리 기독교의 뿌리를 찾아 가면서 연구하고 다시 잃은 것을 찾고 좋은 것들을 더 개발하여 우리 생활에서 다시 한번 신앙의 부흥을 가져 와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연구하고 전하는 해설사 과정을 부산의 평생 교육 프로그램에서 한다는 것이 큰 기쁨이다. 기독교문화역사해설자 과정을 통하여 부산의 기독교를 다시 인식하고 전하여 재부흥의 역사가 일어나길 기대한다.

축도_한달용목사
축도_한달용목사
박시영목사
박시영목사

 

저작권자 © 본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