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잠언 14:1-12
[요절] 잠언 14:1 “지혜(智慧)로운 여인(女人)은 자기 집을 세우되 미련한 여인은 자기 손으로 그것을 허느니라”
[성경 연구]
*전장(13장) 개요: 지혜로운 자는 어리석은 자에 비해 바른 훈계를 잘 듣는다는 사실을 깨우침
*본장(14장) 개요: 어리석은 자의 악하고 교만한 행실과 지혜로운 자의 복이 되는 행실.
(1) 어리석은 자의 실상을 밝히고(1-6절)
(2) 어리석은 자와의 교제를 중단할 것을 가르침(7-16),
(3) 어리석은 자가 이웃에게 해를 끼치는 대신 지혜로운 자는 이웃에 유익과 선한 영향력을 미치므로 보상을 받게 됨.
(4) 진실로 하나님의 백성은 자기 가정을 바르게 세운 후 이웃 사회와 국가에 까지 좋은 영향력을 미쳐야 함을 깨우치고 있다.
[강해 요약]
1. 의인은 어떠한 사람인가?
*본문말씀: “지혜(智慧)로운 여인(女人)은 자기 집을 세우되 미련한 여인은 자기 손으로 그것을 허느니라(1). 정직(正直)하게 행하는 자는 여호와를 경외(敬畏)하여도 패역(悖逆)하게 행하는 자는 여호와를 경멸(輕蔑)하느니라(2) 미련한 자는 교만(驕慢)하여 입으로 매를 자청(自請)하고 지혜로운 자의 입술은 자기를 보전(保全)하느니라(3) 신실한 증인은 거짓말을 아니한다(5), 명철(明哲)한 자는 지식(知識)을 얻기가 쉽다(6). 슬기로운 자의 지혜는 자기의 길을 안다(8) 정직한 자에게 은혜가 있고(9) 정직한 자의 장막은 흥한다”(10)
*교훈: (1) 의인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거룩하고 신령한 지혜를 가진 자로서(1,3)
(2) 의인은 정직하게 행하는 자(2, 9, 10)
(3) 의인은 신실한 자(5, 25), 명철한 자(6, 33), 슬기로운 자(8, 15), 선을 도모하는 자(14, 22), 빈곤한 자를 불쌍히 여기는 자(21, 31),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27), 노하기를 더디하는 자(29) 이다.
2. 의인은 어떤 특징적인 삶을 사는가?
*본문말씀: “지혜(智慧)로운 여인(女人)은 자기 집을 세우되(1) 정직(正直)하게 행하는 자는 여호와를 경외(敬畏)하여도 패역(悖逆)하게 행하는 자는 여호와를 경멸(輕蔑)하느니라(2) 신실한 증인은 거짓말을 아니한다(5) 슬기로운 자는 자기의 행동을 삼가느니라(15) 지혜로운 자는 두려움으로 악을 떠난다(16), 슬기로운 자는 지식으로 면류관을 삼느니라”(18)
*교훈: (1) 의인은 자기 가정을 건강하게 세워야 한다(1) 하나님의 백성은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도록 이 땅에 부름받은 자들로서(마 5:13-16), 자기가 속한 가정과 공동체를 바르고 건강하게 세우고 돌볼 의무가 있다. 하나님의 주권이 우리의 가정과 공동체에 미치도록 해야 한다. 하나님이 행복과 평안과 생명의 주인이시기 때문이다.
(2) 여호와를 경외한다(2)
(3)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5)
(4) 의인은 지혜로 자기의 길을 안다(8). 어떻게 그 길을 아는가? 주님의 말씀을 주야로 묵상함으로 지혜를 얻기 때문이다. 또한 그 길은 자기의 유익을 구하는 이기적인 길이 아니요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는 이타적인 길임을 안다. 이는 주님의 섬김의 도를 삶으로 본받기 때문이다.
(5) 의인은 행동을 절제하며(15), 그에게는 언행일치가 있다. 이것은 야고보 사도의 신행일치 교리와 같다. 하나님의 말씀은 미련한 자를 지혜로운 자로 변화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사도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그리스도의 영으로 변화받아 신행일치를 이룬 것과 같다. 성도들도 변화되어야 한다.
(6) 지혜로운 자는 두려움으로 악에서 떠난다(16). 성도가 악에서 떠남은 하나님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선을 행하기를 원하시기 때문이다. 세상적이고 물질적인 탐욕의 생활을 추구할 때 그 결말이 나쁘다는 것을 성경을 통해 배우고 악에 빠지기 전에 악은 모든 모양이라도 버리고 빠져 나와야 한다.
(7) 여호와를 아는 지식으로 면류관을 삼는다(18)
(8) 궁핍한 자를 불쌍히 여기며(21, 31), 노하기를 더디한다(29), 그러므로 이같은 자는 그 집을 건강히 세우고(1), 이웃의 생명을 구원하며(25), 나라를 영화롭게 한다(34).
이 말씀에 비추어 나는 의인의 바른 삶을 살고 있는지 점검해 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