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규의 히브리어 특강】 성서 히브리어 열네 번째 글자 눈과 12개 글자

  • 입력 2020.09.05 08:04
  • 수정 2020.09.05 08:18
글자 크기
프린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4) 눈 – 물고기/새싹 모양에서 유래한 열네 번째 글자 눈

 

(14) 눈 – 물고기/새싹 모양에서 유래한 열네 번째 글자 눈

 


이것은 14번째 글자 (נ)이라는 글자의 블록체이다.

(נ)은 세로 공간 가운데 50%을 사용해서 쓴다.

양쪽 공간 25% 정도 남겨 놓고 쓴다.

(נ)이란 글자는 물고기새싹을 상징하는 표시의 그림문자로 발전했다.

 


(נ)이란 글자를 원시 시나이 시대까지 추적해 보면, 물고기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원시 가나안 시대에는 자라는 새싹을 상징하는 그림문자로 발전했다.

(נ)이란 단어는 구약에서 사람 이름으로 가끔 나온다.

(נ)의 아버지는 에브라임 지파의 족장이었던 엘리사마(민 1:10, 역상 7:27)이고,

(נ)의 아들은 여호수아(=호세아)(민13:16)라고 기록하고 있다.

페니키아어, 히브리어, 아람어, 고대 시리아어, 아랍어 (ن  ) 까지 모두 (נ)이라고 발음한다.

코이네 헬라어 (νῦ) 란 글자는 페니키아어 (נ)의 영향을 받았다.

라틴어 엔(N)과 로마자 N도 페니키아 (נ)이란 글자의 영향을 받았다.

페니키아어 도 추적해 보면, 물고기 또는 자라는 새싹을 그림문자로 사용하던 것에서 유래했다.

 


현대 히브리어 (נ)이라는 글자는 원시 시나이 시대까지 올라가면 물고기를 상형문자로 사용하던 것에서 유래했다.

원시 가나안 시대에는 자라는 새싹을 상징하는 그림 글자로 바뀌었다. 

 


이것은 현대 히브리어 필기체이다.

오른쪽 글자는 (נ)이란 글자가 단어 마지막에 올 때 글자가 변하는 (נ)의 미형(꼬리형)이다.

 


이것은 (נ)이란 글자의 인쇄체이다.

오른쪽 글자는 (נ)의 꼬리형 인쇄체이다.

꼬리형 글자를 히브리어로는 소핏(Sofit) 이라고 합니다.

 


(נ)의 꼬리형 블록체 쓰는 순서이다.

(נ)의 미형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세로 공간 30%정도  사용해서 쓴다.

양쪽 공간은 35% 정도 남겨 두고 쓴다.

 


이것은 (נ)의 꼬리형과 비슷한 글자이다.

 


(נ)과 김멜도 비슷하다.

자세히 관찰하면 글자를 익히는 데 도움이 된다.

 


(נ)이란 글자도 단어 끝이나 문장 끝에 올 때 글자가 바뀌는 5개 글자 중의 하나이다.

 


참고로 코이네 헬라어에서는 물고기를 익뒤스(ἰχθὺς)라고 한다.

잘 알려진 물고기 도안이다.

 


이것은 히브리어 블록체 (נ)이라는 글자이다.

 


이것은 14번째 글자 (נ)의 인쇄체이다.

 


오늘 강의 요약이다.

(נ)이란 글자는 물고기 또는 새싹을 그림문자로 사용하던 것에서 유래했다.

 


▶김동규 박사, 본 헤럴드 호주 특파원, University of Sydney. Ph.D. (종교학) 저서 - Korean Churches' Understanding of Haneunim/Hananim for God (Shinsung Press, 2016).

▶브리즈번 성서 연구소 소장 (Brisbane Institute for Biblical Research: BIBR).


 

 

 

 

 

저작권자 © 본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