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어 두 번째 문자 ‘베쓰’(베트) ’(ב)와 영문자 B/b를 약 3,850여 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천막(집)으로 들어가는 집의 입구 모양을 그림 문자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나중에 집을 상징하는 문자로 발전하였다.
▶히브리어 베쓰가, 코이네 헬라어에서는 베타(β)로 변천했다.
▶라틴어와 독일어 에서는 ‘베‘(B/b)로 발전했다.
▶영문자에서는 ‘비'(B/b)로 발전했다.
▶결국 영문자 B를 약 3,850여 년까지 추적해 보면 지금의 집과 같았던 천막으로 들어가는 집의 입구 모양을 그림 문자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이것은 히브리어 두 번째 글자 필기체다.
▶쓰는 순서는 번호대로 쓰면 된다.
▶발음은 점이 없으면 V 발음이 나며, Veth(베-쓰)라 발음한다.
▶점이 있으면 B 발음이 나며, Beth(베-쓰)라 발음한다.
▶한글 표기는 둘 다 “베쓰”(베트)로 쓴다.
▶이것은 히브리어 인쇄체의 “베쓰” (Veth)다.
▶“베쓰”도 정사각형 안에 꽉 차게 쓰면 된다.
▶인쇄체 쓰는 순서는 번호대로 따라 하면 된다.
▶주의할 점은 오른쪽 모서리가 직각이 되지 않게 부드럽게 꺾어서 수직으로 내려쓴다.
▶이것은 히브리어 22개 인쇄체(Book print)다.
▶문자 위 번호는 게마트리아 숫자 값을 말한다.
▶여기서 번호는 순서를 나타낸 번호다.
▶이것은 히브리어 블록체(Manual print)다.
▶우리가 히브리어를 손으로 쓸 때 사용하는 것을 블록체라 한다.
▶베쓰(Veth/Beth) 한글의 ‘그’자와 비슷하다.
▶① 맨 위쪽 왼쪽 점선에서 시작해서 수평으로 2/3 정도 남겨 놓고 오른쪽 위 모서리 쪽이 부드럽게 한 후 수직으로 내려쓴다.
▶② 두 번째는 맨 아래 왼쪽에서 시작해서 오른쪽 점선 끝까지 수평으로 쓴다.
▶③ 오른쪽 글자처럼 점이 있는 경우 세 번째 순서로 점을 찍어주면 된다.
▶글자 가운데 있는 점이 없으면, V (ㅸ) 발음이 나고, 점이 있으면 B (ㅂ) 발음이 난다.
▶즉, Veth/Beth의 ‘th' 는 영어 발음의 ‘쓰’ [θ]발음이 난다.
▶‘th'는 ‘베-쓰’에 가까운 발음이 나지만, 한글 표기법 문자가 없어서 보통 ‘베-트’로 쓰기도 한다.
▶(영상 참고)
▶가끔 한국 주석 책에 보면 창세기의 첫 문자 “베레쉬트"를 “뻬레쉬트”라고 표기해 놓은 경우가 있다.
▶그냥 “베레쉬트” 해도 된다.
▶이유는 영문자 B라는 문자 자체가 파열음에 속하기 때문에 이미 강한 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베쓰(베트)에 경음점이 없으면 부드러운 마찰음인 V(ㅸ) 발음이 난다.
▶점이 있으면 딱딱한 파열음인 B(ㅂ) 발음이 나기 때문에 그냥 ‘베레쉬트’라고 해도 된다.
▶베쓰(בּ)의 B를 “뻬”, “삐”, “빠” 등 ‘쌍비읍’(ㅃ)으로 발음하지 않아도 된다.
▶위 6개 문자는 점이 없으면 특히 부드럽고, 약한 소리가 나는 글자이다.
▶그래서 약한 소리가 난다 해서 약음 또는 연한 소리가 난다고 해서 연음점이라고도 한다.
▶이렇게 점이 없는 연한 소리가 나는 6개 문자를 다게쉬 레네라고 한다.
▶그러나 위 6개 문자에 점이 찍히면 (תּפּכּדּגּבּ) 딱딱한 소리(거친 소리)가 나서 강음(경강점/경음점)이라고 한다.
▶6개 문자에 경음점(경강점)을 “다게쉬 포르테”라고 한다.
▶이 6개 문자 תּפּכּדּגּבּ (BGDKPT)에 모음을 넣어서 외우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베가드 케파트”, “베게드 케페트”, 또는 “브그드크프트” 등 자신만이 기억하기 쉽게 만들어 기억하면 도움이 된다.
▶“베가드 케파트” (תּפּכּדּגּבּ) 글자는, “베쓰”, “기멜”, “달렛”, “카프”, “페”, “타브”이다.
▶오늘 강의를 요약하면 위와 같다.
☞ 오늘 강의 핵심 ☜
▶가운뎃점이 없으면, <V>발음이 나고,
▶가운뎃점이 있으면 <B>발음이 난다.
★점이 없으면 Veth(베-쓰),
★점이 있으면 Beth(베-쓰)이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베쓰_천막(집)에서 유래한 두 번째 글자 베쓰(베트)
▶김동규 박사, 본 헤럴드 호주 특파원, The University of Sydney. Ph.D. (종교학) 저서 - Korean Churches' Understanding of Haneunim/Hananim for God (Shinsung Press, 2016)
▶ 브리즈번 성서 연구소 소장 (Brisbane Institute for Biblical Research: BI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