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규의 히브리어 특강】 성서 히브리어 다섯 번째 헤와 12개 글자

  • 입력 2020.07.28 15:30
  • 수정 2020.08.10 14:37
글자 크기
프린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 헤- 사람의 생명을 상징하는 숨 구멍 모양에서 유래한 다섯 번째 글자 헤

 

(5) 헤- 사람의 생명을 상징하는 숨 구멍 모양에서 유래한 다섯 번째 글자 헤

 


히브리어 (ה)란 글자는 페니키아 시대부터 성서 히브리어 사용 시기까지 모두 (Hē)라고 읽었다.


원시 시나이 문자에서 사람 표시는 사람의 생명은 을 쉬어야 하는 존재로 여겼다.

그래서 그 당시 사람들은, 사람 모양은 숨통 또는 숨구멍을 상징하는 표시로 사용했다. 


원시 시나이 문자가 세월이 흐르면서 자음과 모음, 두 가지 형태로 파생된 거로 추정된다.

페니키아 시대부터 성서 히브리어 사용 시기까지는 (ה)란 글자가 로마자 표기 에이치(H소리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발음은 에이치(H)라는 소리가 나지만, 코이네 헬라어에서는 모음 형태인 (Ε/ε)로 발전하였다.

라틴어와 독일어에서도 (E/e)로 파생되었다.

영문자 표기는 (E/e)로 발전했다. 

 


결국 성서 히브리어 헤란 글자를 원시 가나안 시대까지 추적해 보면, 숨구멍 또는 창문 모양을 그림문자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이것은 필기체이다.

숨구멍(목구멍) 같이 생긴 필기체.

(오른쪽 글자) 시작점끝점을 관찰하며 익히기.

양쪽 여백은 어느 정도 공간이 있는지 고려하면 도움이 된다.

 


이것은 인쇄체이다.

쓰는 순서는 번호대로 따라 하면 된다.

주의할 점은 오른쪽 글자 노란 화살표 부분은 반드시 띄우고 내려 써야 한다.

붙으면 8번째 헤트(ח)란 글자가 된다.

 


이것은 손으로 쓰는 블록체이다.

번호대로 따라 하면 된다.

 


성서 히브리어 인쇄체 다섯 번째 글자 (ה)이다.

 


성서 히브리어 블록체 다섯 번째 글자 (ה)이다.

 


5번째와 8번째 글자의 차이점은?

4번째 글자는 달렛이다. 달렛 + 왼쪽 다리 있으면 = (ה)가 된다. 

5 번째 글자 헤는 왼쪽 부분이 위와 어져 있다.

8번째 글자 헤트는 어 있다.

 


오늘 강의 요약.

(ה)의 영어 음역은 에이치 (h)로 표기한다.

원시 가나안 문자가 페니키아, 고대 히브리어, 케타브 앗수리,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ה)란 발음의 h 음가로 발전했다.

그러나 원시 가나안 문자가 헬라어에서는 (E) 타입의 모음 체계인 엡실론(Ε/ε)으로 발전하였다.

로마자 체계에서도 E/e 형태의 모음체계로 발전하였다.

문자적 의미는 창문의 공기가 나가는 공간 또는 숨구멍을 상징하는 표시로 발전하였다.

 


김동규 박사, 본 헤럴드 호주 특파원, The University of Sydney. Ph.D. (종교학) 저서 - Korean Churches' Understanding of Haneunim/Hananim for God (Shinsung Press, 2016).
브리즈번 성서 연구소 소장 (Brisbane Institute for Biblical Research: BIBR).

 


 

저작권자 © 본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