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봐브 - 갈고리 모양에서 유래한 여섯 번째 글자 봐브
▶히브리어 봐브(ו)란 글자도 원시 시나이 시대까지 추적해 보면 갈고리 모양, 즉 텐트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팩(못)을 그림문자로 사용한대서 유래했다.
▶히브리어 봐브(ו)는 헬라어에서는 윕실론(Υ/υ)으로 파생했다.
▶라틴어서는 에프(F), 우(V/v), 윕실론(Y/y)으로 발전했다.
▶로마자 U, V, W, Y란 글자를 BCE 19세기까지 추적해 보면, 갈고리 모양을 그림문자로 사용한 것까지 추적해 볼 수 있다.
▶독일어 발음으로는 우(U), 파우(F), 베(W), 윕실론(Y), 우-움라웃(Ü) 글자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와우가 아니고 봐브(ו)라고 읽는다.
▶영어 음역(Transliteration)과 영어 발음의 차이를 이해하면 도움이 된다.
▶봐브(ו)는 영어 음역으로 로마자 W로 표시한다.
▶여기서 W는 독일식 표기로 W(베)와 같으며, V 발음이 난다.
▶그래서 영어 음가는 V 발음이 난다.
▶영어 음역 표시는 W 표시로 하지만 사운드는 V 발음이 난다는 뜻이다.
▶그래서 봐브(ו)를 영어 음역 표기할 때는 Wāw로 표기하지만, 발음은 VAV(봐브)가 된다.
▶“맏형”을 쓸 때는 “맏형”으로 쓰지만, 발음은 “마텽"으로 발음하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바브라고 하면 BAB 사운드가 나서 피하는 게 좋다.
▶VAV 사운드를 살리려면 봐브(Vav)라고 발음하는 것이 좋다.
▶봐브(ו)와 베쓰(Veth)의 영어 발음은 같은 V(ㅸ) 발음이 난다.
▶영어 음역(Transliteration)과 영어 발음의 차이를 이해하면 도움이 된다.
▶오늘은 6번째 글자, 인쇄체 봐브(ו)이다.
▶히브리어 알파벳은 글자마다 숫자 값이 있다.
▶알레프~요드까지는 숫자 값이 1, 2, 3……9, 10,이렇게 1단위로 올라간다.
▶요드~코프까지는 10, 20, 30……90, 100, 이렇게 10단위로 올라갑니다.
▶코프~타브까지는 100, 200, 300, 400, 이렇게 100단위로 올라간다.
▶히브리어 알파벳은 기본적으로 정방형 글자이다.
▶그러나 몇몇 글자는 정사각형 안에 꽉 차게 쓰지 않는다.
▶그것은 3번째 글자 김멜 (ג),
▶6번째 글자 봐브 (ו),
▶7번째 글자 자인 (ז),
▶10번째 글자 요드 (י),
▶14번째 글자 눈 (נ)
▶블록체로 본 6번째 글자 봐브(ו)이다.
▶한 번에 내려 쓴다.
▶봐브(ו)란 글자는 구약 전체에서 50,524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봐브(ו)는 단어 서두에 나올 때는 “그리고”, “그러나” 등 대부분 접속사로 사용된다.
▶양쪽 옆에는 1/3 정도 여분이 있다.
▶봐브(ו)는 1/3 정도 중앙 공간을 이용해서 쓰면 된다.
▶필기체도 1자로 수직으로 내려쓰면 된다.
▶오늘 강의 요약이다.
▶봐브(ו)의 영어 음역 표기는 W로 표기한다.
▶W는 독일식 표기이다.
▶독일어 베(W)는 영어 발음에서는 V 발음이 난다.
▶그래서 Wāw는 와우가 아니고 Vav(봐브)라고 읽는다.
▶음역 표기는 Wāw이다.
▶그러나 영어 발음은 Vav(봐브)이다.
▶김동규 박사, 본 헤럴드 호주 특파원, The University of Sydney. Ph.D. (종교학) 저서 - Korean Churches' Understanding of Haneunim/Hananim for God (Shinsung Press, 2016).
▶ 브리즈번 성서 연구소 소장 (Brisbane Institute for Biblical Research: BI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