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규의 히브리어 특강】 성서 히브리어 열세 번째 글자 멤과 12개 글자

  • 입력 2020.09.01 16:01
글자 크기
프린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3) 멤 – 물/파도의 물결 모양에서 유래한 열세 번째 글자 멤

 

(13) 멤 – 물/파도의 물결 모양에서 유래한 열세 번째 글자 멤

 


히브리어 (מ)이란 글자를 원시 시나이 시대까지 추적해 보면 또는 파도의 물결 모양을 그림문자로 사용하던 것에서 유래했다.

(מ)은 물을 의미하는 마임(מַ֫יִם /máyim)이라는 히브리 단어에서 유래했다. (창 1:6).

(מ)이란 글자는 아람어 글자 사용 시기까지 거의 천 년 동안 글자 모양이 원시 시나이 시대에 사용하던 그림문자의 모양이 여전히 남아 있다. 

원시 시나이 시대의 잔잔한 물결 모양이 나중에는 거센 파도 모양으로 변했다.

 


BC 5세기쯤부터는 글자 체계가 바뀌었다.

물론 갑자기 바뀐 건 아니고 수백 년 동안 서서히 바뀌었다.

케타브 앗수리 글자는 성서 히브리어의 캘리그라피 글씨체 정도로 봐도 된다.

에스라(Ezra) 제사장(율법 학자)의 주도 아래 필사된 히브리어 글자체가 케타브 앗수리 글자체이다.

에스라는 “율법에 완전한 학자 겸 제사장”(에7:12; 7:21)이었다.

에스라는 “모세의 율법에 익숙한 학자”(에스라 7:6, 10)였다.

한글 글꼴에도 고딕체, 굴림체 등 수백 가지의 글꼴이 있듯이,

케타브 앗수리 글자와 성서 히브리어의 차이는 글꼴의 디자인 차이만 있을 뿐 사실은 거의 똑같다.

이 자음 본문에 주 후 7세기경에 마소라 학자에 의해서 자음 글자에 모음이 추가되었을 뿐,

기본 글자 모양새는 약 2,500년 전 글자 체계와 거의 같다.

모음 첨가, 절 번호 첨가, 인쇄술 발달, 컴퓨터 인쇄라 할지라도 기본 자음 글꼴의 바탕은 2,500년 전과 다를 바 없다.

이 자음 글자에 주 후 7세기경에 모음을 붙인 본문이 오늘날 한국 개신교가 사용하고 있는 BHS (비블리아 헤브라이카 슈투트가르텐시아) 본문이다.

 


헬라어 (Μ/μ)란 글자도 히브리어 (מ)의 영향을 받았다.

결국 성서 히브리어 (מ)과 로마자 M이란 글자를 약 4천 년 전까지 추적해 보면, 또는 파도치는 물결 모양을 그림문자로 사용하던 것에서 유래했다.

 


왼쪽 글자는 현대 히브리어 13번째 글자 (מ)의 기체이다.

영문자 엔(N)과 비슷한데, 엔이 아니고 히브리어 필기체 (מ)이다.

오른쪽 글자는 현대 히브리어 필기체 (ם)의 미형이다.

 


왼쪽 글자는 (מ)의 인쇄체이다.

오른쪽 글자는 의 인쇄체 미형(꼬리형)이다.

(מ)과 ‘멤의 미형(ם)’의 차이점은?

(מ): 붉은 화살표 부분이 려 있으면 (מ)이다.

의 미형(ם): (מ)이 단어 끝에 오면 미형이 된다(ם). (오른쪽 글자) 

 


 쓰는 순서는 번호대로 쓴다.

 


왼쪽 글자는 이중점이 있는 (מ)이다

오른쪽 글자 쓸 때, 주의할 점은 왼쪽 점선에 붙이지 않고 조금 공간을 둔다. (오른쪽 글자 노란 화살표 참고)

 


단어 끝에 올 때 글자가 바뀌는 다섯 개 글자이다.

왼쪽 인쇄체, 블록체, 필기체 칸에 있는 붉은색 글자가 미형이다.

꼬리형은 (ם)을 제외한 나머지 4개 글자는 아래로 길게 쓴다.

그러나 (מ)은 열려 있는 부분을 으면 꼬리형(ם)이 된다.

물통을 그면 꼬리형이 된다고 기억해도 좋을 듯싶다.

 


인쇄체: 붉은색 글자는 성서 히브리어 13번째 글자 (מ)이다.

 


블록체이다.

 


오늘 강의 요약  

 


(מ)은 물/파도의 물결을 상징하는 그림 문자에서 유래했다.

 


▶김동규 박사, 본 헤럴드 호주 특파원, University of Sydney. Ph.D. (종교학) 저서 - Korean Churches' Understanding of Haneunim/Hananim for God (Shinsung Press, 2016).

▶브리즈번 성서 연구소 소장 (Brisbane Institute for Biblical Research: BIBR).

 


 

 

 

 

저작권자 © 본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