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규의 히브리어 특강】 성서 히브리어 열두 번째 라메드와 12개 글자

  • 입력 2020.08.28 11:00
글자 크기
프린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2) 라메드– 지팡이/막대기 모양에서 유래한 열두 번째 글자 라메드

(12) 라메드– 지팡이/막대기 모양에서 유래한 열두 번째 글자 라메드

 


성서 히브리어 12번째 라메드(ל)란 글자를 원시 시나이 시대까지 추적해 보면 지팡이 또는 막대기 모양에서 유래했음을 알 수 있다.

여기 나열한 글자는 꼭 연대순으로 나열한 것은 니다.

브리어와 니키아어는 위 연대 이전에도 사용되었다.

글자가 집중적으로 많이 사용되던 시대를 중심으로 나열했다.

위에서 제시한 글자 사이사이 다른 수십 개의 다른 언어들이 존재한다.

성서 히브리어 본문에 모음을 추가한 것은 주 후 7세기경이다.

정확한 연대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글자가 변천해온 전체 흐름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스어 경우도 에픽 그리스어(Epic Greek)는 3,000년 전에도 사용되었다.

여기서 코이네 헬라어를 성서 히브리어 다음에 나열한 것은, 신약 본문인 코이네 헬라어가 B.C. 300~A.D.300년 사이에 사용되던 언어이기 때문에 여기에 나열했다.

히브리어 라메드(ל)는 중간에 여러 언어를 거쳐 코이네 헬라어에서는 람다(Λ / λ)로 발전했다.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등 많은 라틴계열에 속하는 로마자 L이란 글자를 페니키아 이전까지 추적해 보면 셈족어의 지팡이를 그림문자로 사용하던 문자의 영향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어 23번째 글자 (ل)도 원시 가나안 문자와 아주 유사하다.

어 글자와 성서 히브리어 글자와 같은 발음이 나는 글자도 여러 개 있고,

비슷한 발음이 나는 글자도 여러 개 있다.

대부분 아어는 글자 모양은 브리어와 르다.

그러나 히브리어 라메드(ל)라는 글자 모양은 아어 23번째 글자와 매우 유사하다.

그것은 아랍어도 셈어족에 기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브리어, 아어, 니키아어는 서북 셈어파에 속하고,

아랍어와 에디오피아어는 서남 셈어파에 속한다.

하지만 결국 같은 셈어족을 기원으로 두고 있어서 아랍어 일부 글자는 히브리어와 유사한 발음이 있다.

 


이것은 히브리어 필기체이다.

쓰는 순서는 화살표 방향대로 번에 쓴다.

 


이것은 인쇄체 라메드(ל)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히브리어 성경 본문 인쇄체이다.

 


이것은 히브리어 12번째 글자 라메드(ל블록체이다.

이중 점이 있는 경우는 세 번에 쓴다. 

 


인쇄체와 블록체에서 라메드(ל)란 글자만, 유일하게 정사각형에서 쪽으로 올라온다.

 


 가운데 붉은 글자는 성서 히브리어 블록체 12번째 글자 라메드(ל)이다. 

 


  오늘 강의 요약

 


▶김동규 박사, 본 헤럴드 호주 특파원, University of Sydney. Ph.D. (종교학) 저서 - Korean Churches' Understanding of Haneunim/Hananim for God (Shinsung Press, 2016).
▶브리즈번 성서 연구소 소장 (Brisbane Institute for Biblical Research: BIBR).


 

 

 

 

저작권자 © 본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