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R0034_ (7) 일곱 번째 글자 자인_12개 글자와 함께 알아보는 성서 히브리어
▶로마자 Z를 원시 시나이 문자까지 추적해 보면, 무기나 쟁기를 그림문자로 사용하던 것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히브리어 7번째 글자 자인(ז)도 원시 시나이 시대까지 추적해 보면 무기나 쟁기 모양을 그림문자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히브리어 자인(ז)은 헬라어에서는 제타 (Ζ/ζ)로 변천했다.
▶라틴어서는 제따 (Z/z)로 변천했고, 독일어에서는 체트 (Z/z)로 파생했다.
▶이것은 히브리어 필기체이다.
▶쓸 때는 시작점과 끝점을 고려하면 도움이 된다.
▶또 양쪽 마진의 공간은 어느 정도 남겨두고 쓰는지?
▶위에서 어느 정도 내려쓰면 되는지?
▶맨 아래 굽어지는 부분은 어디인지 고려해서 쓰면 도움이 된다.
▶인쇄체로 일곱 번째 글자 자인(ז)이다.
▶한 번에 내려쓰면 된다.
▶이것은 성서 히브리어 블록체이다.
▶가운데 약 1/3 정도만 사용해서 쓴다.
▶양옆 1/3 정도 남겨두고 쓴다.
▶인쇄체 일곱 번째 글자 자인(ז)이다.
▶블록체 일곱 번째 글자 자인(ז)이다.
▶오늘 강의 요약.
▶자인(ז)의 한글 음가는 지읒(ㅈ)이지만, 영어의 Z (ㅈ/△)발음이 난다.
▶김동규 박사, 본 헤럴드 호주 특파원, The University of Sydney. Ph.D. (종교학) 저서 - Korean Churches' Understanding of Haneunim/Hananim for God (Shinsung Press, 2016).
▶브리즈번 성서 연구소 소장 (Brisbane Institute for Biblical Research: BI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