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규의 히브리어 특강】 성서 히브리어 열한 번째 카프와 12개 글자

  • 입력 2020.08.24 09:47
  • 수정 2020.08.28 11:39
글자 크기
프린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 카프– 손바닥 모양에서 유래한 열한 번째 글자 카프

 

 


(11) 카프– 손바닥 모양에서 유래한 열한 번째 글자 카프

 


성서 히브리어 열한 번째 글자 카프(כּ)를 원시 시나이 문자까지 추적해 보면, 손바닥 모양을 그림문자로 사용하던 것에서 유래했다.

페니키아어, 고대 히브리어, 아람어, 케타브 앗수리어, 고대 시리아어, 페르시아어( ), 아랍어( )까지 약간의 발음 차이는 나지만, 대부분 카프(כּ)라고 읽는다.

히브리어 카프(כּ)는 헬라어에서는 캅파(Κ/κ)로 변천되었다.

라틴어서는 빠(K/k)로 변천되었고,

독일어에서 (K/k)란 음가로 발전하였다. 

영어로는 이(K/k)로 발전하였다.

결국 영어, 독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힌디어 등은 인도 유럽어족에 속하지만, 원시 시나이시대의 그림문자까지 추적해 보면 셈족어의 영향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로마자 K는 원시 시나이 시대까지 추적해 보면, 결국 손바닥 모양을 그림문자로 사용하던 고대 셈족어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이것은 카프(כּ)인쇄체이다.

히브리어로 카프(כַּף / kap )손바닥이란 뜻도 있다.(레 14:15)

펼친 손바닥을 살짝 구부리면 카프(כּ) 모양이 된다.

10번째 글자 요드(י )는 손과 팔을 펼친 그림문자를 말한다.

 


여기 가운뎃점은 경강점이다.

이 경강점은 하게 발음하라는 표시이다.

오른쪽 그림처럼 카프(כּ)가 단어 끝에 올 때는 글자 모양이 바뀐다.

이렇게 단어 끝에 올 때 글자가 바뀌는 글자를 히브리어로 소핏(Sofit)이라고 한다.

우리말로 하면 미형, 또는 꼬리형이라고 한다.

 


이것은 카프(כּ)블록체이다.

 


이것은 현대 히브리어 필기체 카프(כּ)이다.

오른쪽 글자는 현대 히브리어 필기체의 꼬리형이다.

카프(כּ)의 필기체도 어말에 올 때 글자가 바뀐다.

 


이것은 히브리어 알파벳 중 단어 에 올 때 글자가 바뀌는 5개 글자이다.

아랍어나 페니키아어도 글자가 맨 에(어두) 올 때와 중간(어중)에 올 때, 맨 (어말)에 올 때 글자가 조금씩 바뀐다.

그러나 히브리어는 다행히 5개 글자만 단어 마지막 에 올 때 바뀐다.

오늘은 카프(כּ)만 익히면 된다.

 


이것은 카프(כּ)비슷한 글자이다.

 


이것은 비슷한 소리가 나는 글자이다.

영어 발음은 모두 Ch 발음이 난다.

여기서 ch는 독일어 복자음 ch(체-하) 발음과 유사해서 우리말 ‘‘’나 ‘’와 비슷하다.

[Bach] 할 때 그 ‘‘와 이히[ich] 할 때 ‘’와 유사한 소리이다. 

목구멍의 마찰음으로 마치 를 골 때 내는 소리와 유사하다.

 


이것은 베가드 케파트(בגדכפת /begaḏ kepaṯ )  글자이다.

베가드 케파트 글자는 가운뎃점이 없으면 부드러운 소리(약음 소리)가 난다.

그러나 가운뎃점이 있으면 강한 소리가 난다.

이것을 강음이라 한다.

이 강한 소리를 내라는 점을 경강점 또는 경음점이라고 한다.

 


6개의 게바드 케파트 글자이다.

경강점(경음점)은 오직 이 6개 글자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중점거의 모든 자음에 쓸 수 있다.

 


카프(כּ)의 숫자 값은 20이다.

숫자 값을 익혀 놓으면, 히브리어로 숫자를 쓸 때 도움이 된다.

 


이것은 성서 히브리어 블록체 열 번째 글자 카프(כּ)이다.

 


                 ◆ 오늘 강의 요약 

가운뎃점이 으면 영어 음가는 K로 표기한다.

가운뎃점이 으면 영어 음가는 K 또는 ‘Kh’로 표기한다.

K 또는 ‘Kh’는 ch 소리가 난다.

ch는 독일어 복자음 체-하(ch)의 ‘’나 ‘’ 소리가 난다.

대다수 한국어 문법책에서는 카프의 한글 음가를 가운뎃점이 있든, 없든 모두 키읔()으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카프(כּ)의 가운뎃점이 으면 한글 음가로 키읔(ㅋ)이 아니고 히읗()에 더 가깝다.

그래서  한글 음가도 히읗() 아래 을 찍어 표기하면 이해하기 쉽다.

히읗(ㅎ) 표기는 이미 헤트(ח)란 글자에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카프(כּ)는 히읗(ㅎ) 아래 을 찍어 헤트(ח)와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카프(כּ)란 글자에 가운뎃점이 있으면, 숫자 값은 20이다.

하지만, 미형(꼬리형) 일 때는 숫자 값이 500이 된다.


▶김동규 박사, 본 헤럴드 호주 특파원, University of Sydney. Ph.D. (종교학) 저서 - Korean Churches' Understanding of Haneunim/Hananim for God (Shinsung Press, 2016).
▶브리즈번 성서 연구소 소장 (Brisbane Institute for Biblical Research: BIBR).


 

 

 

저작권자 © 본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