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규의 히브리어 특강】 성서 히브리어 열다섯 번째 글자 싸멕과 12개 글자

  • 입력 2020.09.11 09:34
글자 크기
프린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5) 싸멕 – 가시 / 버팀목 모양에서 유래한 열다섯 번째 글자 싸멕

(15) 싸멕 – 가시 / 버팀목 모양에서 유래한 열다섯 번째 글자 싸멕

 


현대 히브리어 싸멕/싸메크(ס)는 시대에 따라 크게 2가지설이 있다.

원시 시나이 시대 유래설과

원시 가나안 시대 이후의 유래설이 있다.

 


1) 원시 시나이 유래설의 근거는 원시 시나이 시대 때 물고기의 가시(thorn)를 상징하는 그림문자를 사용하던 것에서 찾는다.

물고기의 뾰족한 가시(thorn)가 의미하는 것은 포식자들로부터 방패보호를 상징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 물고기의 가시는 사막에서 양들을 보호하기 위해 가시덤불의 가시로 발전했다.

사막에서 유목 생활하던 사람들은 가시나무와 가시덤불로 만들어진 벽과 울타리, 가시로 만든 창문은 짐승과 약탈자로부터 양 떼를 보호하기 위한 방패 역할을 했다.

 


2) 두 번째 유래설의 근거는 버팀목을 상징하는 그림문자를 사용한 것에서 찾는다.

특히 원시 가나안 시대, 페니키아 시대, 고대 히브리 시대에는 텐트를 지탱하는 지지대, 버팀목 역할을 상징하는 문자로 발전했다.

싸멕(ס) 이라는 글자는 원시 시나이 시대에는 포식자로부터 양 떼를 지켜주는 물고기의 가시 모양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원시 가나안 시대부터는 텐트를 지탱해 주는 버팀목을 상징하는 것으로 발전했다.

▶가시버팀목은 포식자나 약탈자로부터 양 떼를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공통점이 있다.

 


헬라어에서는 크시(Ξ/ξ)(Χ/χ)라는 글자로 발전했다.

라틴어에서는 익스(X)와 에스(S)로 변천되었고,

영문자에서는 XS로 발전했다. 

 


이것은 싸멕(ס)의 인쇄체이다.  

이중 점이 있는 경우는 이중 점만 찍어주면 된다.

 


이것은 싸멕(ס)이라는 글자의 블록체이다.

가운뎃점이 있을 경우는 가운뎃점만 찍어주면 된다.

현대 히브리어 싸멕(ס)은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S’ 소리가 나는 21번째 글자 (Sin: שׂ)이란 글자와도 연관이 있다.

 


이것은 현대 히브리어 필기체이다.

 


이것은 비슷한 글자이다.

싸멕(ס)(왼쪽)은 모양이고,

멤의 미형(ם)(오른쪽)은 정사각형 모양이다.

 


붉은색 글자는싸멕(ס)의 블록체이다.

 


이것은 싸멕(ס)의 인쇄체이다.

 


오늘 강의 요약 ▲

 


▶김동규 박사, 본 헤럴드 호주 특파원, University of Sydney. Ph.D. (종교학) 저서 - Korean Churches' Understanding of Haneunim/Hananim for God (Shinsung Press, 2016).

▶브리즈번 성서 연구소 소장 (Brisbane Institute for Biblical Research: BIBR).

 

 

 

 

저작권자 © 본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