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어 네 번째 글자 달렛(ד)과 영문자 ‘D/d’란 글자를 BCE 19세기까지 추적해 보면, 텐트를 말아 올려 만든 창문(문) 모양을 그림문자로 사용한 것에서 출발했다.
▶달렛(ד)은 코이네 헬라어에서는 델타(δ)로 변했다.
▶라틴어와 독일어에서는 데(D/d)로 변천했다.
▶영어에서는 디(D/d)로 발전했다.
▶인쇄체로 처음부터 끝까지 소리 내서 읽으면 도움이 된다.
▶오늘 강의 할 네 번째 글자 달렛(ד)이다.
▶블록체로 된 알파벳도 처음부터 끝까지 소리 내서 읽으면, 글자를 익히는 데 도움이 된다.
▶이것은 히브리어 인쇄체로, 네 번째 글자 달렛이라 읽는다.
▶글자 가운뎃점이 없으면 영어의 the[ð]와 같이 부드럽고, 약한 발음이 난다.
▶그러나 글자 가운뎃점이 있으면, 영어의 d 발음이 난다.
▶쓰는 순서는 번호대로 쓰면 된다.
▶블록체 쓰는 순서도 번호순으로 따라 하면 된다.
▶글자 가운뎃점이 있으면 강한 발음이 난다.
▶그래서 강음 또는 경음점(경강점)이라 한다.
▶이것은 필기체이다.
▶번호와 화살표 방향으로 한 번에 쓴다.
▶붉은색 글자 6개는 글자 가운뎃점이 없으면 부드럽고 약한 음이 난다.
▶그러나 6개 문자에 점이 찍히면 된소리가 난다.
▶가운뎃점이 있으면 강음이 되는 글자 6개를 “베가드케파트” 글자로 기억해도 좋다.
▶가운뎃점을 강음 또는 경음점(경강점)이라 한다.
▶경음점(경강점)은 오직 “베가드케파트” (תּפּכּדּגּבּ), 이 6개 글자에만 사용된다.
▶오늘 배운 달렛도 “베가드케파트” 문자에 속한다.
▶“베가드케파트” (בגדכפת)글자의 영어 음역 표시는 글자 아래 밑줄(b g ḏ k p ṯ)을 그어 표기하거나, bh, gh, dh, kh, ph, th로 표기한다.
▶오늘 강의 요약이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lyhQCmUw6dg
(4) 네 번째 글자 ‘달렛’_12개 글자와 함께 알아보는 성서 히브리어
▶김동규 박사, 본 헤럴드 호주 특파원, The University of Sydney. Ph.D. (종교학) 저서 - Korean Churches' Understanding of Haneunim/Hananim for God (Shinsung Press, 2016).
▶ 브리즈번 성서 연구소 소장 (Brisbane Institute for Biblical Research: BI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