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천회 박사는 미래 영적 지도자를 세우는 차영지 운동을 일으키고 있다. 차영지 운동의 배경을 설명한 책이 [차세대 영적지도자를 일으키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책의 내용을 함께 나누기 위해 전문을 매주 한편씩 본헤럴드에 기재를 하게됨을 기쁘게 생각한다.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과 은혜를 함께 경험하고 나누는 시간이 될것이라 확신한다.
-편집자-
1장 차영지 운동의 태동에 대한 간략한 역사
청소년기 때 하나님을 만난 사람에 의해 태동되었다
허천회 목사는 2003년 2월 말에 서울신학대학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부흥회를 인도하기 위해 한국으로 가는 비행기에 탑승했다. 그리고 한 교회의 목사 (a pastor for the local church)로서, 토론토대학 낙스신학대학원 겸임교수 (Adjunct Professor at Knox College in the University of Toronto)로서, 미래의 영적 지도자들에게 말씀을 전하기 위해 기도하던 중 “차영지”란 단어가 기도 속으로 들어왔다. “차세대 영적 지도자”의 앞 글자가 모여서 만들어진 말이다. 그 순간 하나님께서 주시는 계시로 믿고 “차영지 운동”을 일으키게 되었다.
생각해 보면 평생 가슴에 묻혀 있던 개념이다. 가난한 현실 속에서 좌절과 불만으로 가득 차 있던 중학교 2학년 학생이 전도지를 받고 서울시 고덕동에 있는 명덕성결교회를 나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기도를 할 줄 몰랐던 그는 “하나님! 나는 어떻게 하면 좋아요?”라는 기도만 반복하며 울고 또 울었다. 1년쯤 되었을 때 “너는 내 일을 해라. 그리고 너 같이 힘들고, 방황하는 청소년들을 예수님께 이끌어주는 사람이 되라”는 사명을 받았다.
그 후 예수님께 붙잡힌 삶을 살면서 교회에서 리더가 되었고, 신학교를 가서 목사가 되었다. 군목으로 사역하던 중 캐나다 교포인 아가씨와 결혼하고 캐나다로 가서 목회를 하며 공부를 했다. 한국에서 기독교가 부흥하던 모습만 보고 자란 목사가 캐나다에서 쇠퇴해 가는 교회와 기독교를 목격하는 것은 충격이었다. 자연스럽게 그 원인을 묻는 목회와 공부를 하면서 다양한 원인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종합해 보면, 신학의 문제, 시대의 문제, 교회의 문제, 특히 목회자들의 문제 등이 총체적으로 발견되었다.
단순히 “방황하는 청소년들을 예수님께!”라고 느꼈던 문제는 어디에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모르는 엄청난 문제로 다가왔다. 혼자의 힘으로는 할 수 없는 일, 그러나 외면할 수도 없는 일, 해결하지 못하면 곧 나의 운명이 되어버릴 현실 앞에서 결단을 했다. 그리고 구체적인 청사진은 없었지만 2004년에 서울 영등포성결교회 (강선영 목사)와 캐나다 낙스신학대학원 채플 (Knox College Chapel)에서 첫 집회를 하면서 차영지 운동이 태동하게 되었다.
“시대를 읽고 그 시대에 가장 적절한 지도력을 발휘하는 리더십” 문제에 집중하며 학업과 목회를 하면서 몇 권의 책을 썼다. <리더 리더> (Reader Leader), <리더 수업> 을 통해 21세기에는 어떤 유형의 리더가 필요한지, 리더들은 어떤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지 정립했고, <예수운동은 청년 메시야 운동이었다>를 통해 기독교가 예수님과 그를 따르던 청년들에 의해 태동했으며, 그와 같은 청년성은 기독교의 정체성임을 밝혔다. 앞으로도 차영지 운동은 하나의 유행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목회요 신학으로 발전할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의 심정을 이해하고 청년 사역에 헌신한 동역자들을 만날 수 있었다. 부산에서 임석웅 목사와 이요한 목사, 서울에서 조병재 목사, 순천에서 오영재 목사, 이스라엘에서 서영주 목사, 중국에서 김상회 목사, 밴쿠버에서 임윤묵 목사, 그리고 토론토에서 임수택 목사 등과 동역하면서 기독교 복음의 회복 운동이며 미래를 개척하는 차영지 운동은 세계적인 네트워크 (Net-Work)를 형성해 가기 시작했다.
태동의 역사를 회고하면서 다음과 같은 두가지 관점에서 차영지 운동의 사명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차영지 운동은 십대 때 삶과 죽음의 기로에서 하나님을 만난 사람에 의해 태동되었다. 중고등부, 청소년 시절은 불안하지만 감정적으로는 예민한 때이다. 그 때 누구에게 붙잡히는가에 따라 인생이 결정될 수 있다. 사탄에게 붙잡히면 사탄의 종이 되고, 예수님께 붙잡히면 예수님의 종이 된다. 그러므로 특히 우리의 자녀들이, 교회의 청소년들이 청년의 때에 하나님을 만날 수 있도록 교회는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둘째, 차영지 운동은 정체기를 지나 쇠퇴기에 접어든 기독교를 목격한 사람에 의해 태동되었다. 기독교가 정체되거나 쇠퇴한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지만 오늘날 그러한 헌상은 세계 곳곳에서 반복되고 있다. 어떻게 하면 그 고리를 끓고 기독교가 창조적 구원을 선포하는 생명의 종교로 회복될 수 있을까? 차영지 운동은 그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그 문제를 극복하고 창조적 대안을 제시하는 신학적이며 목회적인 운동이다.
차영지 운동은 선교단체가 아니다. 선교를 하지만 공간적 선교와 시간적 선교를 함으로써 지역 교회를 건강하게 세우는 목회학이다. 차영지 운동은 초대교회로 돌아가자는 식의 과거지향적 운동이 아니다. 하나님은 초대 교회때부터 오늘날까지 시대를 달리하며 계속하여 일하시기 때문에 교회는 과거보다는 현재, 현재 보다는 미래를 항하는 의식을 가지고 목회를 해야 할 것이다.
차영지 운동은 교회 부흥운동이 아니다. 교회 성장이나 교회 부흥에 몰입하다 보면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서서히 양육해야 하는 차영지 운동은 비 효율적이라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차영지 운동은 하나님의 창조와 구원의 역사가 오늘날도 가정과 교회에서 왕성하게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미래를 개척하는 운동이고, 목회이고 선교이다.
이민교회 목회자에 의해 태동되었다.
특별히 “이민교회 목회자”라는 정체성을 밝히는 이유는 한국의 밖에서, 혹은 세계 속에서 한국 교회를 바라봄으로써 한국 교회의 현재와 미래를 보게 되었다는 사실과 동시에 한국 교회를 통해 세계 교회와 기독교를 보게 되었다는 사실을 드러내려 함이다. 또한, 다른 문화와 언어가 기독교 신앙 혹은 영성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 깨닫게 된 내용이라는 사실도 아울러 밝힌다. 다양한 문화와 언어는 분명 미래 교회와 기독교의 현장인데 그 문제에 대해 영적으로나 신학적으로 정립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국수주의적 안목의 탈피
그리스도인으로서 한국 사람이라는 것이 자랑스럽고, 한국 사람들만의 독특한 영성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그렇기 때문에 한국 사람 혹은 한국이라는 울타리 안에 갇혀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한국은 이미 국제 사회 속에 있고, 세계를 항하여 열려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기도 하고 세계를 위해 도움을 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어떤 관점으로 기독교 복음을 이해하고 어떤 관점으로 자신의 사역과 미래를 결정하느냐가 중요한데, 이제 우리는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우리의 생각과 행동 가운데 인식시켜야 할 것이다. 그러면 무엇이 폭력이고 무엇이 평화인지 새롭게 인식하게 될 것이고, 어떤 사람이 미래의 지도자가 되어야 하고, 어떤 사람이 미래를 억압하며 역사의 발전을 방해하는지 알게 될 것이다. 이제 차영지들은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수용하며 리더십을 발전시켜야 할 때이다.
지역 교회를 건강하게 세우는 리더십
다양한 선교 단체들은 기독교 복음이 교회 안에 갇혀 있는 문제를 극복하고 다양한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에 기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선교 단체들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교회 밖의 모임으로 발전하고, 때로는 교회를 대체하는 모임으로 발전하면서 오히려 지역 교회를 약화시키는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
차영지 운동은 잘하고 있는 줄 알고 했지만 결과적으로 교회를 약화시키는 오류를 직시하면서, 지역 교회를 건강하게 세워가는 방법을 찾고 그 일에 매진한다. 즉, 차영지 운동은 “내가 현재 다니고 있는 교회에서 리더가 되자”는 운동이다. 즉, 차영지 운동은 하나님께서 자기 피로 사신 교회, 예수님의 몸인 교회를 건강하게 세워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는 담임목사에 의해 태동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
[차세대 영적 지도자를 일으키라 (성경적 근거와 목회적 적용)] 허 천 회 지음 |
|
목 차 제1 장: 차영지 운동의 태동에 대한 간략한 역사 청소년기 때 하나님을 만난 사람에 의해 태동되었다. 이민교회 목회자에 의해 태동되었다.
제2 장 신학적 근거 선교학적인 관점에서 보는 차영지 운동: 공간적 선교와 시간적 선교 70인역 성경 (LXX) 기독교의 기원과 차영지 운동과의 관계: 예수 운동은 청년 메시아 운동이었다
제3장: 성경적 근거 신명기: 율법의 재해석과 정리 사사기: 복음의 단절과 그 결과 유대교의 쉐마와 기독교의 쉐마 성경에 나타나는 영적 지도자들의 특징 제4장: 철학자들로부터 배우는 차영지 운동 소크라테스 (Socrates, B.C. 470-399)의 경우 플라톤 (Platon, B.C. 427/8-348)의 경우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eles, B.C. 384-322)의 경우
제5 장: 성경에 나타나는 차영지 운동의 실패의 예들 엘리 제사장 사무엘 다읫과 솔로몬의 경우
제6장 차영지 영성: 오늘날 사회와 교회는 균형잡힌 영적 지도자를 필요로 한다. 영성 전문성 대중성
제7장: 차영지 리더십 일반 리더십의 4대 원칙 기독교 리더십 차영지 리더십 차영지들이 믿는 하나님 창조자이며 구원자이신 하나님 운명을 바꾸시는 하나님 천대까지 복주시는 하나님 균형잡힌 영성: 영성, 전문성, 대중성. 황폐된 곳들을 다시 세운다 (사 58:12; 61:1-4) 하나님과 이웃을 동시에 사랑한다 (마 22:34-40; 롬 13:8-1) 바알 신에 무릎 꿇지 않고, 입 맞추지 않은 칠천 명 (왕상 19:14-18)
제8장: 차영지 목회학 부모를 닮은 아이를 부모보다 뛰어난 리더로 키울 수 있을까? 오늘날 시대에 대한 영적인 진단: 잘하고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 사탄의 전략에 당하고 있는 일곱 가지 현상 교회에서 할 수 있는 차영지 운동 전개하기: 한영혼 구원에서 영적 지도자 양성까지 사탄의 전략을 물리치는 구체적인 실천 차영지 교회론: 교회에 대한 열 가지 성경적 가르침 담임목사가 할 일 부모가 할 일: 자녀들을 리더로 양육하는 교육방법 매년 차영지 집회 (SLNG Conference) 실시한다 차영지 목회에서 주의할 점
부록 1: 차영지와 관계된 성경 말씀 모음 부록 2: 차영지 운동과 관계된 CCM 곡들 부록 3: 차영지운동을 위한 교과서들 부록 4 (설교): 3세대가 소통하며 성령의 은혜를 체험하자 (행 2:14-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