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잠언 10:1~13
[요절] 잠언 10:4 “손을 게으르게 놀리는 자는 가난하게 되고 손이 부지런한 자는 부하게 되느니라”
[성경 연구]
*본서(잠언)의 주제와 의미: 본서의 대주제는 ‘지혜’(智慧, Wisdom, 히-호크마חָכְמָה , 헬-소피아 σοψία)이다. 지혜란 ‘현명해지다’, ‘명철’, ‘다양한 학식’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한 세상적인 학식이나 처세술과는 다른 하나님을 경외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삶의 능력과 경건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혜를 가진 자는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 명령을 준행하는 것이 사람의 본분이며,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혜의 근본이요, 거룩하신 자를 아는 것이 명철(明哲)임을 알고 살아간다(잠 9:10).
*지혜의 역할: (1) 하나님의 말씀과 진리의 영(靈)으로 하나님을 알게 하고 자신의 무지함을 깨달아 회개와 구원에 이르게 한다. (2) 신령과 진리로 하나님을 예배하며 섬기게 한다. (3) 선악을 분별하고 다스리는 지도자의 판단력과 육신의 소욕(所欲)을 극복할 수 있는 성도의 바른 생활 지침을 제공해 줌으로써 영혼이 잘됨 같이 범사에 잘되고 강건한 삶(3요 1:2)을 살게 한다.
*연구의 목표: 의인과 악인, 지혜로운 자와 미련한 자의 생활 모습의 특성을 연구하며, 지혜의 가치와 그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강해 요약]
1. 지혜로운 자의 삶의 특성
*본문 말씀: “지혜로운 아들은 아비를 기쁘게 한다”(1) “의인의 영혼은 죽음에서 건지며 주리지 않는다‘(2, 3). “손이 부지런하여 부(富)하게 된다”(4), ’여름에 거두는 지혜로운 아들이 된다(5) 추수 때에 거두는 “의인의 머리에 하나님의 복이 임한다”(6) “마음이 지혜로운 자는 계명을 받는다”(8) “바른길로 행하므로 걸음이 평안하다”(9)
*교훈: 마음이 지혜로운 자는 (1) 하나님의 지혜로운 말씀(계명)을 받고 순종하여 부모를 기쁘게 공경한다(1, 8). (2) 공의(公義)를 행하므로 죽음에서도 건지움을 받고 영원한 생명과 구원에 이르게 된다(2, 16)). (3) 의인의 영혼은 주림이 없는 만족과 머리에 복이 임한다(3, 6). (4) 손이 부지런하여 부하게 되며 추수의 기쁨을 얻는다(4, 5). (5) 의인으로 기념되며 칭찬받는다(7). (6) 바른길로 행하므로 그 걸음이 평안하다(9). (7) 의인의 입은 생명의 샘이 되어 지혜가 넘치며 즐거운 소망을 이룬다(28), (8) 의인은 기초가 평안하며 장수(長壽)의 복을 누린다(11,13,27).
2. 악하고 미련한 자의 삶의 특성
*본문 말씀: “미련한 아들은 어미의 근심이 된다”(1). “불의의 재물은 무익하며”(2). “악인의 소욕은 물리치신다”(3) “손을 게으르게 놀리는 자로 가난하게 된다”(4). “추수 때에 자는 부끄러움을 끼치는 아들이다“(5). ‘악인으로 독을 머금고 있다(6). “굽은 길로 행하는 것이 드러나게 된다”(9).
*교훈: (1) 미련한 아들은 지혜가 없어 어머니에게 근심을 끼치며(1), (2) 불의의 재물을 얻을지라도 무익할 뿐이다(2). (3) 손이 게을러 가난하게 되며, 추수 때에 자는 부끄러움을 끼치는 아들이 된다(4,5). (4) 악인은 독(毒)을 머금은 입술로 참소(讒訴)하며(6, 11,18, 32), 악인으로 굽은 길로 가다가 멸망한다(9,10). (5) 미움으로 다투며(12), 행악(行惡)으로 낙(樂)을 삼다가(23), 결국은 악인의 이름은 썩으며(7), 궁핍한 생활을 하다가 단명(短命)하며 무지로 패망(敗亡)하고 죽는다(15,21,27).
3. 지혜로운 자와 미련한 자의 삶의 영향
*교훈: 이 세상엔 의로운 자와 불의한 자, 그리고 지혜로운 자와 어리석은 자가 공존(共存)하고 있다. 하나님을 믿는 성도는 지혜롭고 의로운 자 편에 서서 믿음으로 승리해야 한다. 지혜가 없어 미련하여 악을 행(行)하며 바른길을 벗어나 불의를 행하다가 패망의 자리로 떨어져 불행한 인생의 종말을 거두는 사람이 많다. 이들은 자신의 불행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에게 악영향(惡影響)을 끼친다.
악한 세상에서 구원받고 변화된 우리는 지혜로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이 세대(世代)를 본받지 말고 하나님의 기뻐하시고 온전하고 선한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며, 죄악으로 어둡고 부패한 세상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함으로써 세상에 좋은 영향력(影響力)을 행사하는 선한 일꾼이 되어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된다.
